카를 융이 창안한 분석심리학은 의식과 무의식간 관계를 확립하고 이해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프로이트(Freud)로부터 무의식의 중요성에 대해 영향을 받은 융은 무의식의 개념을 확장하여 체계적 이론을 구축하였다.
프로이트(S. Freud)의 정신분석과 구별되는 융(C.G. Jung)의 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가리키는 심리학의 한 분파.
융의 분석심리학은 성격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보다 훨씬 덜 결정적인 입장을 취하며, 성(性)이나 공격성(攻擊性)을 덜 강조하는 반면에 신비하고 종교적인 역사나 문화적 배경을 강조하고 있다. 융은 개인적 무의식(無意識) 외에도 집단적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ness)의 개념을 정립하고 신화(神話)나 상징적인 것들 속에 집단적 무의식이 표현되어 있다고 했다. 따라서 융의 분석심리학에 있어서는 개인의 경험이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는 것을 의식화하는 것만이 아니라 집단적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것을 중시하고 있다.
분석심리학에서는, 무의식에는 파괴적이고 공격적인 특징만이 아니라 건설적이고 창조적 측면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의
분석심리학은 인간 정신의 구조를 의식과 무의식으로 구분하며, 나아가 무의식을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으로 세분화한다. 먼저 의식은 자아(ego)에 의해 지배되는 부분으로, 인간이 자신을 외부에 표현하고 외부 현실을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개인이 자신의 의식을 능동적으로 외적 세계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외향성으로 칭하며, 내적 주관적 세계로 향하는 성향을 내향성이라 한다. 융은 우리 모두가 두 가지 상반되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지배적인 경향에 따라 우리의 성격 및 태도가 달라진다고 보았다. 의식이 외부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은 감각과 직관으로 구성된 비합리적 차원, 그리고 외부 세계를 판단하는 방식은 사고와 감정으로 구성된 합리적 차원으로 나뉜다. 융은 심리적 태도와 의식의 기능을 조합하여 여덟 가지 심리적 유형을 정리하였는데, 성격 유형을 측정하는 데 많이 쓰이는 MBTI가 이에 기초하고 있다.
프로이트와의 차이점
융의 분석심리학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차이점을 보인다. 우선 프로이트는 리비도에 대해 인간의 생물학적 성에 국한하여 바라보았으나, 융은 이를 확장시켜 삶의 에너지를 포함한 정신 에너지로 여겼다. 또한 프로이트는 과거의 사건이나 과정이 인간의 성격을 결정짓는다고 여긴 반면, 융은 인간은 과거의 사건들뿐 아니라 미래에 무엇을 하고자 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또, 프로이트는 개인의 자각 수준에 초점을 맞춰 개인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 융은 전체로서의 인류에서 나타나는 집단무의식의 개념을 강조하였다.
집단무의식
개인의 무의식은 쉽게 의식화 될 수 있는 망각된 경험이나 감각 경험으로 구성되며, 이는 개인의 과거 경험에서 비롯된다. 반면 집단무의식은 융의 독창적 개념으로서 분석심리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다. 집단무의식은 인류가 역사와 문화를 통해 공유해 온 모든 정신적 자료의 저장소로,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수없이 많은 원형(archetypes)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문화를 막론하고 신화, 민속, 예술 등에서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주제를 통해 드러난다. 원형은 상징을 통해서 표현되는 보편적, 집단적, 선험적인 심상(image)들로 신, 악마, 부모, 대모, 현자, 사기꾼 등의 원초적 이미지들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원형은 개인이 환경과 조화를 이루려는 적응의 원형인 페르소나(persona), 남성의 내부에 있는 여성성을 뜻하는 아니마(anima)와 여성 내부의 남성성을 의미하는 아니무스(animus), 인간의 어둡거나 사악한 측면 및 원초적인 동물적 욕망을 뜻하는 그림자(shadow), 전체로서 인간 성격의 조화와 통합을 위해 노력하는 자기(self) 등이다. 융에 따르면, 자기(self)는 다른 정신 체계가 충분히 발달할 때까지 나타나지 않으며, 일생에 걸쳐 분화와 통합을 통해 발달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개성화(individuation)라고 한다.
- 출처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