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정보/사회복지이론

파슨스(Talcott Parsons)

by 너싱홈 2017. 1. 30.

출생일 1902. 12. 13, 미국 콜로라도 콜로라도스프링스
사망일 1979. 5. 8, 뮌헨
국적 미국

요약 사회적 행위에 관한 이론으로 몇몇 사회학파에 영향을 끼쳤으며, 협소한 경험적 연구보다는 사회를 분석하기 위한 일반이론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파슨스는 사회학에 임상심리학과 사회심리학을 접합하려 했으며, 사회과학계에서는 지금도 이러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1924년 애머스트대학에서 학사학위를 받은 뒤 런던경제대학을 거쳐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46~56년 하버드대학교에 신설된 사회관계학과의 과장을 지냈으며, 1973년까지 교수직에 있었다. 1949년에는 미국사회학회 회장이 되었다. 주요저서로 〈사회적 행위의 구조〉, 〈사회체계〉 등이 있다.

사회적 행위에 관한 이론으로 몇몇 사회학파에 영향을 끼쳤으며, 협소한 경험적 연구보다는 사회를 분석하기 위한 일반이론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1924년 애머스트대학에서 학사학위를 받은 뒤 런던경제대학을 거쳐 1927년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제학 전임강사로 있다가 1931년부터 사회학을 강의하기 시작하여 1944년 정교수가 되었다.

1946~56년 하버드대학교에 신설된 사회관계학과의 과장을 지냈으며, 1973년까지 교수직에 있었다. 1949년에는 미국사회학회의 회장이 되었다. 파슨스는 사회학에 임상심리학과 사회심리학을 접합하려 했으며, 사회과학계에서는 지금도 이러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최초의 주요저서인 〈사회적 행위의 구조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1937)에서 파슨스는 A.마셜, V.파레토, E.뒤르켐, M.베버 등 유럽 학자들의 주요원리를 받아들여 자발적 원칙에 근거한 체계적 사회행동이론을 발전시켰다. 이때 자발적인 원칙이란 여러 가지 가치나 행동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할 때 그 선택은 상당부분 자유의지가 작용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그는 사회학이론의 핵심이 S.프로이트나 베버에 의해 발전된 것처럼 인성(人性)이라는 내적 영역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행위를 결정하고 그 행위를 통해 지속성을 이끌어내는 사회제도의 구조와 같은 외적 영역에 존재한다고 규정했다.

또다른 저서 〈사회체계 The Social System〉(1951)에서는 대규모의 사회에 대한 분석과 사회질서·통합·균형 등과 같은 문제들에 관심을 돌렸다. 그는 사회구조를 구성하는 각 요소는 상호관련되어 있으며, 이것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전체 사회체계가 유지·발전된다는 구조기능주의적 관점을 옹호했다.

다른 저서들로는 〈사회학 이론에 관하여 Essays in Sociological Theory〉(1949, 개정판 1954)·〈현대 사회의 구조와 과정 Structure and Process in Modern Societies〉(1960)·〈사회에 관한 진화적·비교적 방법 Societies:Evolutionary and Comparative Perspectives〉(1966)·〈정치와 사회구조 Politics and Social Structure〉(1969)·〈미국의 대학 The American University〉(제럴드 M.플랫과 닐 J.스멜서 공저, 1973) 등이 있다. 하버드대학교 교수시절 거의 반세기에 이르는 그의 연구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제자와 동료들이 〈안정과 변화 Stability and Change〉(버나드 바버와 알렉스 잉켈러스 편집, 1971)·〈사회과학 일반이론에 관한 탐구 Explorations in General Theory in Social Sciences〉(얀 J.루브저와 라이너 C.바움 편집, 1971) 등 2권의 문집을 간행했다.

 

출처

'복지정보 > 사회복지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0) 2017.03.23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  (0) 2017.03.17
파블로프(Ivan Petrovich Pavlov)  (0) 2017.01.30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0) 2017.01.30
칼 융(Carl Gustav Jung)  (0) 2017.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