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정보/사회복지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by 너싱홈 2017. 3. 23.


1. 피아제이론의 기본전제

(1) 인간은 환경과 능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존재이다

      1) 인간은 환경의 재구성을 통해 능동적으로 인지구조를 발달시켜 가는 존재이다.

      2) 인간이 환경과 능동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적응’ 과 ‘조직’이다.

(2) 적응(adaptation)과 조직(organization)

      1) 적응(순응력)

           : 적응은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인지구조에 기초하여 받아들이는 ‘동화’와 기존의 인지구조를 새로운              정보에 맞게 변형시키는 ‘조절’, 동화와 조절이 균형을 이루게 되는 ‘평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조직 : 조직이란 적응과정을 통해 들어 온 정보를 기존의 인지구조에 결합시키는 능력을 의미한다.

      3) 적응과 조직은 생명체인 인간이 타고난 기본적인 기능이므로 나이가 들어도 변하지 않는다.

(3) 인지구조가 변화한다.

      1) 인지구조는 인지도식(schema)으로 이루어져 있다.

      2) 인간이 사물을 받아들이는데 사용하는 정신체계로, 스키마, 쉐마라고 불리기도 한다.

      3) 그런데 인간은 태어날 때 반사신경 외에는 인지구조가 거의 없이 태어난다.

      4) 인간의 인지도식(schema)은 인간이 타고난 능력인 ‘적응과 조직’을 통해 변화해 가는데, 이러한 인지구조의 변화가 바로 지적 성장이다.


2. 인지발달단계의 기본전제

     1) 질적으로 다른 단계

          : 인간의 인지발달은 감각동작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라는 질적으로 다른 4가지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

     2) 각 발달단계는 서로 연결된다

          : 각 발달단계는 연속된 것으로 이전 단계에 근거해서 새로운 단계가 나타나게 된다. 즉, 새로운 단계와 이전 단계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서로 통합된다.

     3) 발달단계의 순서는 불변

         : 발달단계의 순서와 발달단계별 행동이 나타나는 순서는 유전이나 경험,

           즉 개인차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발달에 있어서의 개인차

         : 발달단계가 나타나는 시기에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에 따라 구체적 조작기가 나타나는 시기가 빠를 수도 있고 느릴 수도 있다.


3. 인지발달의 과정

     1) 환경으로부터의 자극

          : 기존의 인지구조에 새로운 정보가 들어온다. 예를 들어, 젖꼭지를 빠는 것밖에 모르는 유아에게 딸랑이 장난감이 주어진다.

     2) 동화 :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인지구조에 근거해 받아들인다. 즉, 딸랑이를 손에 쥐고 빨아 본다.

     3) 조절 : 새로운 정보가 기존의 인지구조로는 받아들일 수 없게 되면 인지구조를 변형시킨다. 딸랑이를 아무리 빨아도 젖이 나오지 않으면 딸랑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다루어 본다.

     4) 평형 :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새로운 도식(schema)을 만들어 낸다.        딸랑이를 흔들면 소리가 난다는 것을 알게 되어 딸랑이를 흔든다.

     5) 조직 : 새로운 정보가 인지구조와 결합되어(조직) 인지구조가 변화한다.        딸랑이=흔드는 것’이라는 도식(schema)이 기존의 인지구조에 결합된다.

4. 피아제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1) 학생의 실수를 통한 발달단계의 파악

          : 학생들이 하는 실수나 오류를 통해 학생들의 사고가 어느 단계에 있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2) 인지부조화 상태의 유지

         : 학생들의 지적 성장을 위해서는 인지구조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인지부조화 상태’ 즉, ‘적절한 불균형’이 유지될 수 있는 수준의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 학습과제의 수준이 쉽게 동화될 수 있는 것이거나, 너무 어려워서 조절도 할 수 없는 수준의 것이어서는 안 된다.

    3) 자발적 학습 : 학습은 아동의 능동적 구성과정이므로 아동의 자발적 학습을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4) 원리의 적용 : 교사는 학생에게 최근에 배운 원리를 다른 상황에 적용하도록 끊임없이 요구해야 한다.  원리가 적용되면 그것을 사용하는 연습을 하게 된 것이고, 만일 원리가 들어맞지 않으면 불균형이 생겨 새로운 사고능력이 발달하게 된다.

 

'복지정보 > 사회복지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0) 2017.10.08
로저스 - 인본주의 이론  (2) 2017.04.14
매슬로우의 자아실현  (0) 2017.03.23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0) 2017.03.23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  (0) 2017.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