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1

파블로프(Ivan Petrovich Pavlov) 출생일 1849. 9. 26(구력 9. 14), 러시아 랴잔 사망일 1936. 2. 27,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 러시아 요약 파블로프는 조건반사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킨 것으로 유명하며 인간의 행동을 신경계와 관련시킨 선구적 연구를 수행한 인물이다. 마취되지 않은 정상적인 동물에서 분비액의 분비가 불규칙하게 일어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조건반사에 대한 법칙을 공식화했다. 정신현상과 높은 수준의 신경활동을 객관적,생리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동물의 물리적 혹은 심리적인 활동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침샘분비를 이용했다. 또한 이자액과 위액이 신경의 기능으로 분비된다는 사실을 입증하여 신경 지배 연구에 있어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다. 공산주의자 및 소련 정부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표명한 일화들은 소비에트 연방뿐만 아.. 2017. 1. 30.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 출생일 1870. 2. 7, 오스트리아 펜칭 사망일 1937. 5. 28, 스코틀랜드 애버딘셔 애버딘 국적 오스트리아 요약 영향력있는 개인심리학 체계를 세웠으며, 열등감이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열등감에 의해 감정적으로 무능해진 사람들을 성숙하고 사회적으로 유능한 방향으로 인도하는 유연한 지지심리요법을 개발했다. 1900년경 정신병리를 연구하기 시작했고, 1902년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긴밀한 관계를 갖기 시작했지만 학문·사상의 차이로 멀어졌다. 아동기 초기의 성적 갈등이 정신질환을 초래한다는 프로이트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았고, 나아가 성의 역할을 사람이 무력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애쓰는 과정에서 상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일 뿐이라고 제한했다.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따르면, 인간의 완성을 위한 노력은 우월함을 .. 2017. 1. 30.
아니무스 콤플렉스(animus complex) 분석심리학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카를 융은, 「모든 것 중 가장 현저한 자율성의 집합체다. 그것은 남성의 여성과의 상호작용과 여성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꿈 속에 나타나는 상으로서 그것 자신이 나타난다. 아니마, 아니무스의 과정을 상상하는 힘의 하나의 근원이다」라고 간주했다. 융은 또, 개성화의 단계의 비유로 그림자와의 만남은 견습공에 의한 「습작」, 그리고 아니마와의 만남은 명공에 의한 「걸작」이다, 라고도 말하고 있다. 아니마(anima) 남성의 무의식 인격의 여성적 측면을 원형이라고 규정했다. 남성이 가지는 모든 여성적인 심리학 목표 성질이 이것에 해당한다. 남성이 가지는 미발달의 에로스(관계의 원리)이기도 해, 이성의 여성에게 투영되기도 한다. 유년기의 어머니의 투영으로 시작해, 자.. 2017. 1. 30.
분석심리학[ Analytical Psychology , 分析心理學 ] 카를 융이 창안한 분석심리학은 의식과 무의식간 관계를 확립하고 이해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프로이트(Freud)로부터 무의식의 중요성에 대해 영향을 받은 융은 무의식의 개념을 확장하여 체계적 이론을 구축하였다. 프로이트(S. Freud)의 정신분석과 구별되는 융(C.G. Jung)의 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가리키는 심리학의 한 분파. 융의 분석심리학은 성격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보다 훨씬 덜 결정적인 입장을 취하며, 성(性)이나 공격성(攻擊性)을 덜 강조하는 반면에 신비하고 종교적인 역사나 문화적 배경을 강조하고 있다. 융은 개인적 무의식(無意識) 외에도 집단적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ness)의 개념을 정립하고 신화(神話)나 상징적인 것들 속에 집단적 무의식이 표현되어 있다.. 2017. 1. 30.
칼 융(Carl Gustav Jung) 융 Carl (Gustav) Jung 출생일 1875. 7. 26, 스위스 케스빌 사망일 1961. 6. 6, 퀴스나흐트 국적 스위스 요약 분석심리학의 기초를 세웠고 외향성·내향성 성격, 원형, 집단무의식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발전시켰다. 그의 업적은 정신의학과 종교·문학 관련 분야의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성직자가 많은 가문의 전통을 버리고 정신과 의사가 된 그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영향을 받아 공동연구를 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그가 프로이트의 후계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성격과 견해 차이 때문에 결별했다. 그는 사람들이 갖고 있는 공통의 정신영역을 집단무의식이라 칭하며 이 개념을 원형이론과 결합시킴으로써 종교심리학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환자를 돌보는 한편 교수로 재직하.. 2017. 1. 29.
강점관점(strength perspective) 강점관점(strength perspective) 1. 서론 가족치료는 가족의 기능 향상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존엄성과 독특성, 그리고 능력과 잠재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전문적 실천의 중요한 요소로 간주해 왔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병리적 요소보다는 긍정적인 강점을 강조하고 이를 실천을 통해 극대화시키려는 강점지향적 관점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며, 사회복지 및 가족치료의 오랜 전통에 바탕을 두고 있다. 최근 들어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그 동안 강점지향적 관점이 가족치료 실천에서 간과되어온 경향이 있으며, 이 관점에서 중요한 개념인 강점(strength), 역량(competence), 힘(power)의 의미가 현대사회에 맞게 재조명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2017. 1. 29.
프로이드(Anna Freud) 출생일 1895. 12. 3, 오스트리아 빈 사망일 1982. 10. 9, 영국 런던 국적 오스트리아/영국 요약 자아 또는 의식이 어떻게 기능하여 고통스런 생각, 충동, 감정을 회피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공헌을 했다.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막내딸로, 아버지에 대해 헌신적이었다. 빈 정신분석학회 회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아동정신분석에 대한 자신의 연구법을 개괄하는 논문을 썼다. 젊은시절 초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아동들에 대한 관찰을 통해 아동심리학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녀의 지적에 따르면 인간의 기본적인 방어 메커니즘은 억압으로, 어떤 충격이 작용할 경우 그것이 자신에게 위험하다는 것을 어린아이가 학습함에 따라 발전하게 되는 무의식적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녀가 기술한 그밖의 방어 메커니즘으로 자신의 .. 2017. 1. 29.
리비도(libido) 기본적으로 인간이 지니고 있는 성적 욕구로, 프로이트가 제시한 개념 리비도는 정신분석학 용어로 성본능(性本能), 성충동(性衝動)을 뜻한다. 이 말은 보통 말하는 성욕, 다시 말해 성기(性器)와 성기의 접합을 바라는 욕망과는 다른 넓은 개념으로,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갖추고 있는 본능에너지를 뜻한다. 원래는 라틴어로 욕망을 뜻하는 단어이다. 성적인 욕구가 내부로 향하느냐 외부의 객체에게로 향하느냐에 따라 자아 리비도와 대상 리비도로 나눌 수 있는데, 어떤 경우이든 욕망이 만족을 향해 움직일 때 동원되는 에너지 전체를 지칭한다.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 프로이트는 인간이 두 가지 기본적 욕구를 지니고 있다고 하였는데, 하나는 공격욕구인 타나토스이고, 또 하나는 성욕구인 리비도다. 성적 본능의 에너지를 리비도(l.. 2017. 1. 29.
사회복지의 개념 제 1장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사회보장>사회사업--->사회정책>사회복지정책) 여기서 사회복지는 다소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차원에서 개념이고 사회보장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실천적인 차원에서 개념이다. 그래서 가장 추상적인 차원에서의 사회복지의 개념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공적, 사적 부문의 모든 활동이다. 그리고 이 활동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누구의 삶을, 삶의 어떤 부분을, 누구에 의해서, 어느 정도까지 향상시킬 것인가를 명확히 해야 한다. 하나. 사회복지란 가. 사회복지의 개념을 구성하는 요소들 1) 대상 빈곤층, 특수욕구를 가진자(정신, 육체장애)-->노동자(근로자)-->자영업자-->일반국민, 노령자-->아동) =>사회복지의 대상이 누구인가? 에 따라서 사회복지의 의미가 결정된다. 이때 사.. 2017. 1. 26.
에릭 에릭슨-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psychosocial development theory , 心理社會的 發達理論 요약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에릭 에릭슨의 심리발달이론. 한 사람의 심리발달은 평생에 걸쳐 심리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발달단계는 고정불변하며, 각 단계의 위기를 적절하게 해결해 나갈 때 완전한 기능을 하는 성격이 형성된다고 여겼다. 결과적으로 에릭슨은 긍정적인 요소가 부정적인 요소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획득되는 경우를 적절한 발달로 보았다. 에릭 에릭슨 미국의 교육심리학자인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 1902-1994) 덴마크 출신의 미국의 교육심리학자인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에 의해 제안된 심리발달이론. 에릭슨은 젊은 시절에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 2017. 1. 9.
엘렉트라 콤플렉스 엘렉트라 콤플렉스 Electra Complex 요약 여자아이가 아버지에게 애정을 품으면서 어머니를 경쟁자로 인식하고 질투하거나 적대시하는 경향. 목차 프로이트가 제시한 이론으로 융에 의해 명명되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생식기 단계(phallic stage:3~5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그의 학문체계에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대비가 되지만 그것만큼 중요시되지 않고 있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이 단계의 여자아이는 자신의 성기(clitoris)에 관심을 갖는데 남자아이의 성기(penis)에 비해 열등감을 느끼고 그것을 선망하게(penis envy) 된다. 그러나 남자와 같아지려는 희망을 포기하고 거세(castration)된 사실을 받아들이면서 아버지를 사랑하고 어머니에 대해 반감을 품게 된다. 엘렉트라.. 2017. 1. 8.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어머니를 손에 넣으려는, 또한 아버지에 대한 강한 반항심을 품고 있는 앰비밸런스적인 심리를 받아들이는 상황을 말한다. 프로이트는 이 심리 상황 속에서 볼 수 있는 어머니에 대한 근친상간적인 욕망을 그리스 비극의 하나 '오이디푸스'(오이디푸스 왕)에 빗대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불렀다 ('오이디푸스'는 몰랐다고는 하지만, 부왕을 죽이고 자신의 어머니와 결혼했다는 이야기이다). 남아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먼저 아이는 어머니를 얻기 위해, 아버지와 같은 위치를 쟁취하려고 한다. 남아에게 어머니는 이성이고 그러므로 사랑의 대상이다. 아이는 아버지와 같은 남자가 되려하는 동일화가 강하게 나타난다. 아이는 곧 아버지를 배제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아이에게 아버지는 절대.. 2017. 1. 8.
서울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추천 서울디지털대학교를 소개하려 합니다. 2017년도 신입생 모집에 응시를 했는데요, 전문대 수시와 사이버대학교 입학을 두고 몇 달간을 고심하고 고심하다가 서울디지털대학교 입학으로 결정을 했습니다. 서울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선택하게 된 것은, 첫 째, 장학제도가 잘 되어 있어서입니다. 제가 현재 간호조무사로 근무하고 있는데 서울디지털대학교와 기관협력이 되어 있어서 기관협력 장학생으로 입학금 면제와 등록금 2~3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외 다양한 장학제도는 타대학과 비교해도 우월합니다. 둘 째, 서울디지털대학교의 퀄리티 높은 교육수준입니다. 오프라인대학에 뒤지지 않는 수준 높은 강의와 학사관리가 잘 되어 있어 신뢰가 갔습니다. 다양한 학과가 있는 것도 선택에 도움이 됐습니다. 졸업 후.. 2016. 12. 31.
사회복지개론 요약 사회복지의 개념 ※ 사회복지의 원천은 상호부조 근대적인 사회복지의 대두배경 ① 자본주의 경제체제 : 사적재산 소유 인정, 시장 원리를 통한 자유경쟁, 영리 추구 영국 18C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 경제체제 등장. 우리나라의 근대화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영정조시대? 갑오경장이후? 일제강점기? 박정희정권하 경제개발이후? 다양한 논의;;; 자본주의 경제체제 이래 활발한 경제 성장을 가져옴. 창의력과 경쟁을 기초로 자본가 VS 노동자 간의 계급 분화 → 계급간의 갈등 (국가 개입의 동기) ② 산업사회의 특성 H. Wilensky 전통적인 상호부조의 의한 사회복지가 가능한 것은 가정, 시장의 역할이 많은 문제를 해결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대적인 사회복지는 가정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그로 인해 나타나는 문.. 2016. 12. 26.
사회복지개론 시험문제 정리 자료 유인 1------------------------------------------------------------------------- 1.사회복지의대상(누구에게) 할당 : 개인, 집단 할당의원칙-보편(전체):노령연금,의무교육 선별(골라서):자산,,수입조사. (공공부조,공공주택) 길버트할당원칙 - 귀속적욕구,보상 진단적차별, 자산조사에의한 욕구 챔버스자격요건의 원칙 - 과거의기여, 행정규정, 재량권 소득.... 부정적효과-낙인과소유, 급여목표이탈 과대비용.과대이용, 근로의욕저하, 세대연속의존 2.사회복지의급여(무엇을) 현금,현물(쌀 라면 확용품) 길버트-현금현물,기회 권력 증서 서비스 3.행정체계(어떻게전달) 포괄의 원칙_복합적 체계적. 지속성, 전문, 책임 접근 효과 효율. 전달체계종류-공공전달, .. 2016. 12. 24.
사회복지실천론 예상문제2 사회복지실천론 예상문제2 문제 1. 다음에서 수용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보 기1 클라이언트 장점과 건설적 태도와 긍정적 감정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보 기2 사회적으로 용납되지않은태도와 행동도 받아들인다. 보 기3 수용의 대상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과 진실된 것이다. 보 기4 클라이언트의 부정적인 감정이나 파괴적태도,단점등은 수용하지 않는다. 보 기5 비난이나 적의에 찬 감정을 숨기지 않고 그대로 수시로 표출해야한다. 정 답 3 문제 2. 한주제에서 다른주제로 넘어갈때 다루었던 내용을 정리하고 클라이언트 생각, 행동, 감정들을 사회복지사의 언어로 정리해주는 기법은? 보 기1 반영 보 기2 직면 보 기3 해석 보 기4 요약 보 기5 명료화 정 답 4 문제 3. 통합적 접근방법의 특징으로 바르지 않은 .. 2016. 12. 18.